School of Integrative Engineering, Chung-Ang University
이수 구분 |
교과목 | 담당 교수 | 학점 | 학년-학기 | 교과목 소개 |
---|---|---|---|---|---|
전공 필수 |
공학수학1 | 박해선 | 3 | 2-1 | 융합응용수학은 공학분야에서 수학적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해 훈련하는 공업수학 과목입니다. 융합응용수학1에서는 선형대수학, 1/2차 미분방정식, 라플라스, 푸리에 변환 등을 학습합니다. |
물리화학(1) | 황병일 | 3 | 2-1 | 각종화학반응을 물리법칙을 이용하여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물리화학1에서는 열역학 이론을 바탕으로 기체/액체/고체의 반응, 혼합, 평형에 대해 학습합니다. | |
물리화학(2) | 박해선 | 3 | 2-2 | 기체 및 액체 분자 운동론, 반응 속도론 및 속도 법칙, 화학 반응의 온도 의존성 등을 이해하고 이를 다양한 반응 메커니즘에 적용하여 화학반응의 속도에 대해 학습합니다. | |
융합소재과학 | 표성규 | 3 | 2-1 | 소재과학의 기초이론 소개, 결정구조의 이해, 핵생성 및 성장, 소재의 기계적 성질, 열역학 및 상평형과 상태도, 금속/세라믹/폴리머의 물성 및 특성에 대한 기초를 소개합니다. | |
나노소재물성 | 하돈형 | 3 | 2-2 | 나노소재의 주요 물성들을 이해하고 특성들을 활용하는 나노소재에 대하여 공부합니다. 특히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물성 들을 중점적으로 공부하여 주요 디바이스에서 활용되는 주요 물성을 이해합니다. | |
인터페이스물질전이론 | 표성규 | 3 | 3-2 | 열역학적 기반으로 하는 소재의 계면특성 및 이동이론, 확산론, 균질 핵생성이론 및 비균질 핵생성이론, 액상-고상 상전이론, 고상-고상 상전이론, 반도체 및 신소재의 응용사례 소개합니다 | |
전공 선택 |
무기재료화학 | 백태종 | 3 | 2-1 | 원자 구조, 분자구조, 군론, 착화합물등 무기 화학 기반 지식을 학습합니다. |
나노공학개론 | 왕동환 | 3 | 2-2 | 나노공학의 개념 및 응용분야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습득합니다. 특히, 다양한 나노 기술을 활용한 재료의 물성에 대한 이해와 분석 기술 등을 접해보고, 나노공학 기반의 소재합성, 공정원리, 응용 소자 등 핵심 기초에 대한 학습을 수행합니다. | |
나노공학기초설계 | 손형빈 | 3 | 2-2 | 설계전공지식 위주의 강의에서 벗어나 프로젝트 수행 등을 통해 공학에 대한 흥미도를 높이기 위한 과목입니다. 본 과목을 통해 공학 문제 해결방법을 습득하며, 이후에 수강하는 설계과목에 필수적인 선수과목이 됩니다. | |
응용회로이론 | 손형빈 | 3 | 3-1 | 전기전자 비전공자를 위한 회로 입문 과정으로, 기초 회로 이론과 회로 요소에 중점을 둡니다. 실습 섹션은 학생들에게 실제 회로 설계, 조립 및 분석 경험을 제공합니다. | |
이차전지공학개론 | 백태종 | 3 | 3-1 | 소재의 전기적 성질에 대한 기본 원리 및 기초 소자의 구조, 구동 원리에 대해 공부합니다. | |
전기화학 이론 및 응용 | 김수길 | 3 | 3-1 | 전기화학은 계면을 통한 전자 전달과 관련된 화학 반응 및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이는 부식, 도금, 합성, 촉매 작용, 에너지 장치 및 분석 화학 등에 광범위하게 응용됩니다. 본 강의에서는 전기화학의 기초이론을 소개하고, 전기화학을 산업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사례연구를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전기화학 및 관련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 학습하고, 갈바닉 및 전해 시스템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에너지 장치, 반도체 제조, 촉매 등의 설계에 응용할 수 있게 됩니다. | |
양자물리화학 | 하돈형 | 3 | 3-1 | 나노소재의 물성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에 대해서 공부합니다. 양자물리와 고전물리의 다른점을 비교 학습한후, 원자와 분자의 구조를 양자 역학적 관점에서 공부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제 채료의 특징들에 대해 설명합니다. | |
환경에너지융합요소설계 | 왕동환 | 3 | 3-1 | 융합공학부 학부생을 위한 실험 설계 교과목으로 나노소재/나노공학 기술 전반, 반도체 및 에너지 기술과 연관된 실험 실습을 토대로 연구활동을 체험하고, 관련 기술을 학습해 전공자로서 실무 역량을 습득합니다. | |
에너지환경촉매개론 | 김수길 | 3 | 3-2 | 본 강의에서는 환경유해물질과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다양한 화학반응에 대해 배우고, 이러한 반응들에서 촉매의 역할과, 촉매를 설계하고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학습합니다. 본 강의를 통해 학생들은 heterogeneous catalysis의 기본 이론과 산업 응용에 대한 포괄적인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 |
유무기기능소재요소설계 | 하돈형 | 3 | 3-2 | 유무기 기능성 소재의 원리, 종류, 제조법, 적용에 대해 이론적으로 알아보고 수업 참여 학생의 자기주도적으로 관심 유무기 기능성 나노소재를 선택하고 이를 공학인증 절차에 따라 계획하여 진행하고 결과를 얻도록 합니다. 특히 선택 분야에 대한 실습을 관련된 분야의 연구실에서 병행하여설계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합니다. | |
탄소소재공학 | 윤성훈 | 3 | 3-2 | Carbon Engineering provides knowledge on physicochem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carbon 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into electrochemical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systems; covers 1) basic physical properties 2) chemical and surface properties, 3) basic electrochemical behaviors 4) carbon preparation, 5) application into such as lithium ion batteries and supercapacitors. | |
재료구조 및 X-선 결정학 | 하돈형 | 3 | 3-2 | 고체 결정학의 기초를 배우고, 재료의 다양한 원자 구조 및 X선 회절을 이용한 구조 분석법의 이론과 응용을 함께 소개합니다. | |
인터페이스물질전이론 | 표성규 | 3 | 3-2 | 열역학적 기반으로 하는 소재의 계면특성 및 이동이론, 확산론, 균질 핵생성이론 및 비균질 핵생성이론, 액상-고상 상전이론, 고상-고상 상전이론, 반도체 및 신소재의 응용사례를 소개합니다 | |
나노융합종합설계 | 표성규 | 3 | 4-1 | 학부생의 학부졸업논문을 지도하는 수업입니다. | |
디스플레이재료및공학 | 왕동환 | 3 | 4-1 |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에 활용되는 재료 및 공학 기술을 다루는 과목으로 유-무기 하이브리드 소재 기반 OLED 및 Flexible Display 에 대한 구동 원리와 메커니즘을 학습하고 고성능 셀 구현을 위한 나노 물질과 효율적인 디바이스 구조에 대해 심화 강의합니다. | |
삼차원집적공정개론 | 표성규 | 3 | 4-1 | 반도체 집적공정소개, 포토, 에치, 확산, 세정, 박막공정 및 반도체 단위공정을 공부하고 이를 토대로 메모리소자, 로직소자, 이미지센서등의 집적공정을 공부하며 최종적으로 이런한 칩들을 연결하는 삼차원집적공정에 대한 강의를 진행합니다. | |
에너지나노소재공학 | 윤성훈 | 3 | 4-1 | Energy Nanomaterials Engineering provides knowledge on the crystal/electronic structures of inorganic nanomaterials,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nanomaerials, covers 1) solid state chemistry of inorganic nanomaterials, 2) crystal/electronic structure of inorganic nanomaterials, 3) application of inorganic nanomaterials into cathode materials in lithium batteries. | |
소재의 물리적 성질 | 황병일 | 3 | 4-2 | 재료에 가해지는 힘과 이에 대한 기계적 거동 변화에 대해 학습합니다. 철강 및 비철소재를 포함 다양한 소재의 구조와 기계적 거동에 미치는 인자를 학습하고, 이와 같은 특성이 실제로 어떻게 응용이 되는지에 대해 학습합니다. | |
유기재료물성 및 ICT융합소자 | 왕동환 | 3 | 4-2 | 유기반도체 재료의 물리/화학적, 광학적, 전기적 물성에 대한 심도 깊은 학습을 토대로 차세대 유기전자소자인 OLED, 유기태양전지, 트랜지스터에 해당하는 융합소자의 구동원리와 나노 공정에 대해 강의합니다. | |
재료기기분석 | 백태종 | 3 | 4-2 | 소재의 물리적, 구조적 특성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기기 분석의 기초 원리 및 분석 방법에 대해 공부합니다. |
- 2025학년도 신입학 기준 교과과정표로, 개인별 졸업요건은 학부과정 > 졸업요건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